logo
수도권 재개발, 2026년 이후 전면 본격화…가격 안정과 국지적 상승 혼재 전망
도시정비

수도권 재개발, 2026년 이후 전면 본격화…가격 안정과 국지적 상승 혼재 전망

최종엽 대표기자
입력
재개발 기대 지역 속속 윤곽…양천·강동·용답 등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도시정비사업이 2026년부터 본격화되며 중장기적으로 부동산 시장의 판도가 크게 흔들릴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공급 확대와 절차 간소화를 통해 정비사업 소요기간을 줄이고, 장기적인 주택 안정화에 나설 계획이다. 

 

서울 양천구 목동과 신월동 일대를 중심으로 조합 설립 및 안전진단 통과 단지가 늘고 있으며, 정비구역 지정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특히 신속통합기획이 적용된 구역은 1~2년 가량 사업 기간이 단축될 수 있어 투자 수요도 크게 몰리는 분위기다. 

 

정부는 "안정 목표"…그러나 입지 따라 상승 가능성 높아

 

국토교통부는 “주택 가격 하락이 아닌 가격 안정”을 목표로 두고 있으며, 공급 확대와 함께 부동산 시장의 과열을 막기 위한 규제도 병행할 방침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강남, 마포 등 핵심 입지에서는 재개발 기대감이 반영되며 국지적 가격 상승이 불가피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지방은 공공임대·소형 주택 중심

 

반면 대전·전주·강원권 등 지방은 미분양 우려와 수요 정체로 인해 공공임대주택 중심의 재개발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유휴 부지 개발과 도시재생 사업이 병행되는 가운데, 민간 자본보다는 공공주도 방식이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투자자와 토지주, 맞춤 전략 필요

 

전문가들은 재개발이 단순한 건축 행위를 넘어 지역 경제와 상권을 바꾸는 도시계획의 흐름이기 때문에, 토지주·투자자 모두 권리산정 기준일, 분담금, 입주권 요건 등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특히 양천구, 영등포구 등 서울 서남권은 앞으로 몇 년간 가치 상승이 뚜렷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종엽 대표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